도쿄 아오야마 학원 대학 법학부를 졸업한 독특한 이력을 가진 미유 야마다.
그녀의 작품 속에는 구름 같기도 하고 솜사탕 같기도 한 의인화된 생명체가 등장한다. 이 생명체는 늘 어리둥절한 표정을 짓고 있다. 이는 삶을 알 듯 모를 듯 모호한 느낌으로 살아가는 우리의 진짜 속마음과 같은 표정이다. 이를 작가는 자연물이면서도 인공물의 재료가 될 수 있는 모호한 성질의 모래를 사용하여 표현하고 있다.
미유 야마다는 현대 사회의 부유감과 불확실성을 모래라는 소재를 통해 드러내는 것을 선택했다.
인간은 현실의 고통이 심해질수록 자연으로 돌아가려는 속성을 지니고 있다. 스트레스 상황이 지속될 때 산과 들, 바다와 숲 등 자연스럽게 자연으로 향한다. 자연과 도시 그 모든 곳에 공존하고 있는 중간자적 존재인 모래는 작가가 전하고자 하는 불확실하고 모호한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우리의 모습을 효과적으로 그려낸다.
드로잉을 바탕으로 선을 복 돋워 그리는 시리즈와 파스텔을 이용한 작품 전개로 이어지는 그녀의 작품은 보는 이들로 하여금 현대인이 가지는 감정을 무겁지 않고 경쾌하게 느끼게 한다.
미유 야마다는 현대 사회의 부유감과 불확실성을 모래라는 소재를 통해 드러낸다. 작가는 이를 통해 불확실하고 모호한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우리의 모습을 효과적으로 그려내고 있다.
Miyu Yamada (1994~ / Japan)
Miyu Yamada is an artist with a unique background, having graduated from the Faculty of Law at Aoyama Gakuin University in Tokyo. Her works feature anthropomorphized creatures that resemble clouds or cotton candy, always wearing perplexed expressions. These expressions reflect the ambiguous feelings of understanding and confusion that resonate with our innermost emotions as we navigate life. Yamada conveys this using sand, a material that embodies the ambiguous nature of being both a natural and an artificial substance.
Yamada chooses sand as her medium to convey the sense of buoyancy and uncertainty prevalent in contemporary society. As humans face increasing pain in reality, they possess an inherent tendency to return to nature. During prolonged stress, people naturally gravitate towards mountains, fields, seas, and forests. Sand, existing as an intermediary between nature and urban environments, effectively illustrates the uncertain and ambiguous nature of modern life that Yamada aims to depict.
Her works, which include a series based on drawings with enhanced lines and pieces developed using pastels, allow viewers to experience the emotions of modern individuals in a lighthearted and lively manner. Through sand, Yamada effectively captures our existence in an uncertain and ambiguous modern world.